반응형
OSI모델
통신을 하기위한 표준 규격
7 | 응용계층 | 이메일 , 파일 전송 웹사이트 조회 등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 제공 |
---|---|---|
6 | 표현계층 | 문자코드 압축 암호화 등의 데이터 변화 |
5 | 세션계층 | 세션체결 ,통신방식 결정 |
4 | 전송계층 | 신뢰할수있는 통신 구현 |
3 | 네트워크 계층 |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위한 경로설정 및 논리주소 결정 |
2 | 데이터링크 계층 | 네트워크 기기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 주소를 결정 |
1 | 물리계층 |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신호를 변환 및 제어 |
캡슐화와 역캡슐화
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 앞부분에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한다. 이 정보를 헤더 라고 하는,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있음
이렇게 헤더를 붙여나가는 걸 캡슐과 라고 함
데이터를 받는 쪽은 이 헤더를 제거해나감 > 이걸 역캡슐화 라고 함
전기신호
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맨아래 계층인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함
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0과 1의 비트열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야함 >> 랜카드로 이 비트열이 전달되고 전기신호로 변환을 한다.
반응형